조민지 울발연 박사 보고서 제언
도심-외곽 서비스 격차 등 고려
공동배송센터·MFC 거점 구축
경로 최적화·친환경 시스템 도입
스마트 물류 선도도시 도약 가능

드론 활용 물류 배송 시연 모습. 울산신문 자료사진
울산의 생활물류 산업에서 발생되는 도심과 외곽 지역 간 배송 서비스 격차, 택배 근로자의 열악한 작업환경 등을 해결하기 위해 '스마트 물류 기술' 도입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.
울산연구원은 3일 발표한 연구보고서 '울산 스마트 생활물류(택배) 기술 적용 방안'을 통해 이 같은 제언을 내놨다.
연구를 맡은 조민지 박사는 울산의 생활물류(택배)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지만, 택배 근로자의 과중한 노동 환경, 물류 인프라 부족, 도심과 외곽 지역 간 배송 격차 등이 주요 현안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.
이에 조 박사는 울산시의 생활물류(택배) 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외 스마트 물류 기술 및 정책 동향을 반영해 울산에 적합한 스마트 물류 기술을 도출했다.
조 박사는 △AI(인공지능) 기반 경로 최적화 △자율주행 택배 차량 △드론 배송 △친환경 물류 차량 도입 등을 주요 기술로 제시했다.
조 박사는 추진을 고려해야 할 정책으로 '스마트 물류 거점 구축 사업'을 제안했다. 이는 공동배송센터 및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(MFC)를 조성해 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고 AI 기반 경로 최적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미다.
또 조 박사는 '자율주행 및 드론 배송 실증사업 확대'를 통해 자율주행 택배 차량과 드론 배송을 시범 운영하고 실증 데이터를 축적해 단계적 상용화를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.
'친환경 물류 시스템 도입'도 제시됐다. 조 박사는 전기·수소 기반 친환경 물류 차량 도입을 확대하고 충전 인프라를 확충해 친환경 물류 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밝혔다.
'택배 종사자 근무환경 개선'을 위해서는 자동화 물류 시스템 도입, 안전 모니터링 장비 및 휴게공간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.
혁신 기술 개발 및 실증 촉진을 위해 지자체-물류기업-연구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'민관 협력 기반의 스마트 물류 지원체계' 조성도 제안됐다.
조 박사는 "이러한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면, 울산이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스마트 물류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"며 "보다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택배 배송 서비스가 제공되고, 택배 종사자들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근무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. 정책적 지원과 선제적 인프라 구축, 그리고 물류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요구된다"고 말했다.
서승원기자 (ggundle2000@ulsanpress.net )
출처 : 울산신문
원본 : https://www.ulsanpress.net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48164
조민지 울발연 박사 보고서 제언
도심-외곽 서비스 격차 등 고려
공동배송센터·MFC 거점 구축
경로 최적화·친환경 시스템 도입
스마트 물류 선도도시 도약 가능
드론 활용 물류 배송 시연 모습. 울산신문 자료사진
울산의 생활물류 산업에서 발생되는 도심과 외곽 지역 간 배송 서비스 격차, 택배 근로자의 열악한 작업환경 등을 해결하기 위해 '스마트 물류 기술' 도입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.
울산연구원은 3일 발표한 연구보고서 '울산 스마트 생활물류(택배) 기술 적용 방안'을 통해 이 같은 제언을 내놨다.
연구를 맡은 조민지 박사는 울산의 생활물류(택배)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지만, 택배 근로자의 과중한 노동 환경, 물류 인프라 부족, 도심과 외곽 지역 간 배송 격차 등이 주요 현안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.
이에 조 박사는 울산시의 생활물류(택배) 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외 스마트 물류 기술 및 정책 동향을 반영해 울산에 적합한 스마트 물류 기술을 도출했다.
조 박사는 △AI(인공지능) 기반 경로 최적화 △자율주행 택배 차량 △드론 배송 △친환경 물류 차량 도입 등을 주요 기술로 제시했다.
조 박사는 추진을 고려해야 할 정책으로 '스마트 물류 거점 구축 사업'을 제안했다. 이는 공동배송센터 및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(MFC)를 조성해 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고 AI 기반 경로 최적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미다.
또 조 박사는 '자율주행 및 드론 배송 실증사업 확대'를 통해 자율주행 택배 차량과 드론 배송을 시범 운영하고 실증 데이터를 축적해 단계적 상용화를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.
'친환경 물류 시스템 도입'도 제시됐다. 조 박사는 전기·수소 기반 친환경 물류 차량 도입을 확대하고 충전 인프라를 확충해 친환경 물류 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밝혔다.
'택배 종사자 근무환경 개선'을 위해서는 자동화 물류 시스템 도입, 안전 모니터링 장비 및 휴게공간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.
혁신 기술 개발 및 실증 촉진을 위해 지자체-물류기업-연구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'민관 협력 기반의 스마트 물류 지원체계' 조성도 제안됐다.
조 박사는 "이러한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면, 울산이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스마트 물류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"며 "보다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택배 배송 서비스가 제공되고, 택배 종사자들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근무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. 정책적 지원과 선제적 인프라 구축, 그리고 물류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요구된다"고 말했다.
서승원기자 (ggundle2000@ulsanpress.net )
출처 : 울산신문
원본 : https://www.ulsanpress.net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48164